본문 바로가기
정보

발암물질 제로 콜라 아스파탐

by 폭풍흡입 2023. 7. 6.
반응형

발암물질 제로 콜라 아스파탐이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논란인 아스파탐은 막걸리나 제로 콜라에 설탕대신 들어가 문제가 되고 있다.

문제인 아프파탐이 WHO에 발암물질로 분류한다는 것이다.

소비자들과 업계는 대혼란이 아닐 수 없다.

지금껏 잘 마시던 음료나 막걸리가 발암물질로 불류가 된다면 그동안 마셨던 소비자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

정말 마시면 암에 걸릴까???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이달 14일 아스파탐을 발암물질 2B그룹으로 지정한다는 방침이다.

 

IARC 발암물질 분류

출처 : 연합뉴스

1군 : 인체에 발암을 유발하는것으로 확인된 물질

석면, 벤젠, 술, 담배, 햄이나 소시지 같은 가공육 등이 있다.

2A군 : 인체에 발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

65도씨 이상 뜨거운 음료(물) 붉은 고기(소고기, 돼지고기) 등이 있다.

2B군 : 확실하게 증명되지 않았으나 인체에 발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 

고사리, 알로에 베라, 피클, 아시아의 절임 채소류(김치) 등이 있다.

 

문제가 되고 있는 막걸리나 제로 음료 등은 2B군으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삼겹살(발암불질 2A군)에 소주(발암물질 1군) 거기에 김치(발암물질 2B군)를 먹으면 발암물질 덩어리를 먹는 것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의하면, 체중 35kg인 어린아이가 아스파탐의 일일 섭취 허용량(ADI)을 초과하려면 매일  제로 콜라 55캔 이상을 마셔야 하며, 막걸리의 경우 체중 60kg의 성인이 하루 막걸리 33병을 마셔야 한다고 한다.

사실상 하루에 이렇게 많은 양을 먹을 수 없기 때문에 안심해도 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인공감미료와 암의 연관성은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반면 설탕의 문제는 명백하다는 입장이다.

설탕을 과다 섭취하면 혈당이 오르며 비만, 당뇨 등 만성질환을 일으키는 게 완전히 증명되었다며 아직까지는 설탕보다는 인공감미료가 건강에 더 낫다고 한다.

결론은 제로콜라를 하루에 55캔 먹지 않으면 크게 걱정 안 해도 된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입장이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불안감은 더 커져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