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통계로 보는 암

by 폭풍흡입 2023. 10. 30.
반응형

 

3명 중 1명이 암일 정도로 흔한 질병이 되어버린 암, 병을 이기려면 그 병에 대해 어느 정도는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오늘은 통계로 보는 암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보건복지부는 중앙암등록본부 및 지역암등록본부를 지정‧운영하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는 모든 암등록사업 자료를 통합한 국가 암발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이 중 1999년 이후 악성암(이하 암) 등록자에 대한 발생통계를 산출하고 있다.

암 발생 현황

2020년 암의 발생자수는 총 247,952명이며, 남자는 130,618명, 여자는 117,334명으로 나타난다. 2020년 암의 조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482.9명(남자 510.1명, 여자 455.8명)이었으며, 연령표준화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482.9명(남자 563.8명, 여자 435.6명)이다.

암 발생 확률

모든 암의 연령군별 발생률을 보면, 65세 이상에서의 암발생률은 10만 명 당 1483.6명에 달하여 고령층에서 암 발생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특성을 잘 보였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기대수명(83.5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9%였으며, 남자(80.5세)는 5명 중 2명(39.0%), 여자(86.5세)는 3명 중 1명(33.9%)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통계로 보는 암 출처 : 국립암정보센터

연령별 암 발생률

모든 암의 연령군별 발생률을 보면, 65세 이상에서의 암발생률은 10만 명 당 1483.6명에 달하여 고령층에서 암 발생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특성을 잘 보인다.
모든 암의 연령별 발생률, 2020

통계로 보는 암 출처 : 국립암정보센터

암 발생 국제비교

○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우리나라 암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62.2명으로 OECD 평균(300.9명) 보다 낮은 수준이다.
미국(362.2), 캐나다(348.0), 프랑스(341.9), 이탈리아(292.6), 일본(285.1) 보다 낮게 나타났다.

통계로 보는 암 출처 : 국립암정보센터

암생존율 통계 산출 결과

최근 5년간(2016-2020년) 발생한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이하 생존율)은 71.5%로, 10명 중 7명 이상은 5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01-2005년 진단된 암환자와 비교하여 최근 5년간(2016-2020년) 진단된 암환자의 5년 생존율은 17.4% p 증가되었으며, 2006-2010년 진단된 암환자의 5년 생존율보다도 6.0% p 향상되었다. 남녀별 5년 생존율은 여자(77.8%)가 남자(65.5%) 보다 높았는데, 이는 생존율이 높은 갑상선암, 유방암이 여성에서 남성보다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통계로 보는 암 출처 : 국립암정보센터

통계로 보는 암을 통해 암에 대해 어느정도 알아보았다.
국가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으로 조기발견하여 생존율을 높여야겠다. 
이것으로 통계로 보는 암에 대해 알아보았다.

반응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타랠리가 증시에 미치는 영향  (3) 2023.11.01
에너지 바우처 혜택  (0) 2023.10.31
미국의 셧다운과 디폴트 뜻  (27) 2023.10.27
나비효과 뜻과 의미  (4) 2023.10.25
메파와 비둘기파 알아보기  (2) 2023.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