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유값 인상 밀크플레이션으로 이어졌다.
물가 상승으로 인해 연쇄적으로 오르는 가운데 원유 가격 인상으로 흰 우유와 각종 유제품 값도 오르는 이른바 밀크플레이션 (밀크 + 인플레이션) 이 논란이 되고 있다.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으로 가격이 결정되는 다른 상품과 달리 원유 값은 매년 낙농가와 유업계로 구성된 낙농진흥회가 협상을 통해 결정하기 때문이다. 올해 낙농진흥회는 지난 1일부터 원유 가격을 L당 88원(8.8%) 올린 1084원으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서울우유협동조합은 1일부터 1L짜리 흰 우유 출고가를 대형마트 기준으로 3% 올린 2900원씩 받고 있다.
원유 가격이 오르면서 밀크플레이션은 현실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아이스크림값도 올랐다.
B사와 H사는 6일부터 아이스크림 제품의 대형마트 출고 가격을 300-500원 올리기로 했다.
최근 설탕이나 올리브유, 밀가루 등은 세제적인 이상기후와 전쟁으로 인해 가격이 하늘 높은줄 모르게 뛰었다. 인도, 유럽에 폭염이 덮치면서 작물 수확량이 크게 줄어 공급량이 부족해지자 국제 가격이 급등했다.
하지만 우유 가격 인상은 이 같은 공급난과는 무관하다. 수요가 줄어도 원유 생산비가 오르면 가격이 올라가는 구조다.
국내 낙농가는 사료 값이 매년 올라 어쩔수 없이 원유 가격을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내 1인당 우유 소비량은 2001년 1인당 36.5kg에서 작년 26.2kg까지 떨어졌다. 유가공품에 들어가는 우유는 대부분 수입해서 쓴다. 덴마크, 폴란드산 수입 우유가 국내산 우유보다 40-50%가량 저렴하기 때문이다.
식음료 업체 관계자들은 난감하다는 입장이다. 원유 가격이 뛴 만큼 제품 가격을 올려야 할지, 고물가에 가격을 올리면 매출이 떨어질 수도 있어서이다. 한 관계자는 우유는 빵, 과자, 아이스크림까지 영향을 미치는 품목인 만큼 인상폭과 시기에 좀 더 신중했어야 했다며 우유값 인상이 물가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고 한다.
일부 소비자들은 가격인상으로 인해 국내산 우유 보다 저렴한 수입우유를 마시겠다는 의견도 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FDA 인증과 등록 차이점 (0) | 2023.10.15 |
---|---|
단풍 시기 서울단풍명소 5곳 (0) | 2023.10.13 |
지하철 요금 인상 내년 하반기에 추가 인상 예정 (0) | 2023.10.07 |
아이폰15 프로맥스 내구성 실험한 유튜버들 (0) | 2023.10.06 |
고유가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 무서운 4고 (2) | 2023.10.05 |